일상예찬 봄소풍은 기존과 같이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이루어졌습니다. 비교적 좋은 날씨 속에 미술관 야외 작품들을 큐레이터와 함께 관람하고 본인이 느끼는 감정과 생각들을 표현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. 내부 교육관으로 이동하여 직접 창작물을 만들어보고, 해당 창작물에 담겨있는 본인의 기억과 생각을 또한 여러 참가자들 앞에서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.
일상예찬 가을소풍은 국립현대미술관 현대차시리즈 최정화 작가와 함께 하반기에는 서울관에서 처음 이루어졌습니다. 일상에서 쓰이는 빨래판이나 냄비 등과 같은 친숙한 소재로 작품을 만드는 작가와 함께 옛 기억을 떠올리며 그림을 그리고 사진을 찍고, 탑을 쌓고, 앞으로 기억해야 할 일들을 녹음 했습니다. 센터마다 2~3회 참여하고 예술과 일상을 연관시켜 보호자와 함께 창작물을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.
일시: 2018년 9월 11일(화) 19:00~21:00 장소: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강당 |
||
19:00 – 19:40 | Topic: Clinical significance of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(SCD) |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김상윤 |
19:40 – 19:50 | Q & A | |
19:50 – 20:00 | Coffee break | |
20:00 - 20:30 | Case 1: 기억저하와 심한 뇌백질 손상을 보이는 76세 여자 | 김아로 (서울성모병원) |
20:30 - 21:00 | Case 2: 갑작스러운 기억력 저하 및 변동을 주소로 내원한 81세 여자 | 이양현 (신촌세브란스) |
2018년 9월 대한치매학회 정례 집담회를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강당에서 개최하였다. 이번 정례 집담회는 subjective cognitive decline에 대하여 서울성모병원의 양동원 교수님께서 강의를 해주셨고, 서울성모병원과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증례를 준비해서 활발한 토론이 이루어졌다.
일시: Part 1. 2018.8.25(토), 26(일), Part 2. 2018.9.1(토), 2(일) 장소: 충남대학교병원 재활센터 3층 대강당 |
||
8월 25일 (토) | 치매 관련 정책과 제도의 이해 | |
국가 치매정책과 방향 | 중앙치매센터 변선정 | |
치매 안심센터 사업 개관 | 중앙치매센터 변선정 | |
치매안심센터 협력의사의 역할 | 중앙치매센터 변선정 | |
치매관리 DB (ANSYS) 활용 | 중앙치매센터 변선정 | |
장기요양보험제도의 이해 | 국민건강보험공단 대전지부 안성하 | |
성년후견제도의 이해 | 고령자치매후견센터 변호사 이현곤 | |
8월 26일 (일) | 치매의 진단 | |
치매의 정의와 진단과정 | 충남의대 김정란 | |
인지기능검사 및 해석 | 건양의대 윤보라 | |
뇌영상검사를 통한 치매의 원인감별 | 을지의대 윤수진 | |
중식 | ||
치매중증도 평가 | 아주의대 홍창형 | |
노인 섬망의 진단과 치료 | 마음사랑병원 한명일 | |
ADL, BPSD: 개념과 평가 | 충남의대 이미지 | |
의사소견서 작성 방법 | 한양의대 김희진 | |
9월 1일 (토) | 치매환자와의 의사소통방법 | 인제의대 손보경 |
인지저하에 대한 약물적 치료 | 충남의대 이애영 | |
인지저하에 대한 비약물적 치료 | 건국의대 문소영 | |
정신행동증상에 대한 치료적 접근 | 동국의대 곽경필 | |
운동증상 및 신체적 합병증 관리 | 중앙의대 윤영철 | |
치매환자치료 및 관리에서의 윤리 | 카톨릭의대 한창태 | |
9월 2일 (일) | 치매/경도인지장애: 인지문제 | 중앙보훈병원 양영순 |
치매: 정신행동증상 문제 | 전남의대 신일선 | |
치매: 운동 및 기타 신체증상 문제 | 고려의대 이찬녕 | |
중식 | ||
치매: 사례관리적 접근 | 서울의대 이준영 | |
전체 교육과정 Review | 인제의대 손보경 | |
시험 | ||
수료식 |